최근 금융에서 '마이데이터'에 대해서 많이 나오는데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대기업 , 증권사 , 빅 테크 기업 , 은행 , 핀테크 기업 등이 마이데이터 사업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2022년 1월부터 정식으로 시행한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마이데이터가 무엇이고 , 마이데이터를 통한 사업과 미래 전망 등 마이데이터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마이데이터란?
: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본인 신용정보 관리업"이라고 합니다.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관리. 통제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정보를 신용이나 자산관리 등에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우리의 신용정보 , 은행 기록 , 금융정보 등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모아 나의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하나은행 , 우리은행 , 증권사 등에 접속하시려면 각각의 앱을 설치하고 각각의 사이트에서 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면 이제 하나의 앱을 통해서 나의 모든 신용정보를 관리하는 것이니 얼마나 편할까요.
2. 마이데이터 방식
: 어떤 분들은 지금도 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실 텐데요. 현재 사용 중인 '토스' 나 '뱅크 샐러드'는 스크래핑 방식이란 것을 사용하는데 , 나의 공인인증서로 대리 접속 후 웹 화면 정보를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나의 공인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한 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마이데이터는 API(application Progaamming Interface) 방식을 사용합니다.
API 방식은 표준화된 정보처리 방식(API)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3. 마이데이터 장. 단점
※ 장점
① 모든 금융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 가능
: 한 개의 앱에서 쉽고 편하게 나의 정보 점검이 가능
② 나의 신용 , 자산 분석이 가능
: 나의 신용 , 자산 상태에 대한 리포트를 한눈에 파악이 가능하도록 쉽게 받을 수 있음
③ 맞춤형 금융 상품을 제공 받음
: 사용자에게 맞춤형 금융 상품을 제공할 기회가 많아지게 됩니다.
④ 금융 산업 발전을 기대해봄
: 은행뿐만 아니라 여러 기관에서 마이테이더 사업에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의 데이터를 가지고 선의의 경쟁이 이루어져 금융 산업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음
※ 단점
① 오래 걸리는 자산 연동 소요시간
: 개인 자산 정보 업데이트 시간이 약 하루정도 걸린다고 하니 이 부분 보안은 시간이 걸릴 듯합니다.
② 서비스 제공업체의 마케팅 경쟁 과열
: 마이데이터 사업 시행 후 마케팅 경쟁 과열 문제가 발생하여 금융위에서 경쟁 방지를 위한 조치중이다.
③ 앱 오류
: 마이데이터 시범 시행 첫날 서비스에 문제가 있거나 데이터를 불러오지 못하는 오류 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보완 필요사항을 점검하여 시행 전에 서비스가 문제없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저의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