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실업급여 중요한 조건 3가지 - 이 조건 안 맞으면 절대 못 받습니다.

by 오로라빠 2022. 11. 2.

회사를 다니다 보면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퇴사를 하거나 회사를 나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죠? 고용이 불안한 계약직 같은 경우에는 그런 경우를 자주 겪으실 텐데요. 갑작스럽게 회사에서 퇴사를 해야 하는 경우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금전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굉장한 불안을 느낄 수밖에 없을 겁니다.

 

그래서 이럴때 국가에서 생계불안 극복을 위해 실업급여를 지급하게 되는데요. 실업급여를 어떤 조건이 충족되어야 받을 수 있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중요한 3가지 조건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아보도록 할 테니 , 퇴사하신 분들이 아니라도 평소에 상식처럼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1. 실업급여란?

 

 

: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로서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실업급여는 실업에 대한 위로금이나 고용보험료 납부의 대가로 지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 실업급여는 실업이라는 보험사고가 발생했을 때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대하여 적극적인 재취업활동을 한 사실을 확인(실업인정)하고 지급합니다.

 

실업급여 종류

 

 

 

 

2. 실업급여 중요 조건 3가지

 

: 우선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중요한 3가지 조건을 충족하셔야지만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 중요한 3가지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아보고 내가 그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해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① 고용보험 가입 기간

 

: 첫번째 조건은 고용보험 가입 기간 180일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용보험을 하루 가입한다고 실업급여가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이직일 전에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일이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18개월동안 하나의 회사가 아니라 2,3개 회사를 다녔어도 상관없습니다. 그 다닌 회사를 합쳐서 고용보험 가입일을 계산하시면 됩니다. 이 180일에 무급으로 휴무하는 날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② 신청 기간

 

: 실업 급여를 신청할 수 있는 기간도 정해져 있습니다. 그 기간안에 신청을 하셔야 실업급여를 받으실 수가 있습니다. 회사를 퇴사한 다음날부터 12개월이 안에 신청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③ 이직 사유

 

: 마지막 요건은 이직 사유입니다. 퇴사한 이유가 내 의지가 아닌 타인이나 비자발적인 이유로 인해서 그만두었을 때만 가능합니다. 말 그대로 회사의 사정이 어려워 구조조정으로 퇴사했거나 , 계약이 만료되어 재계약이 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정년퇴직한 경우에도 실업 급여 대상으로 인정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발적 퇴사인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요. 재계약을 하자고 하면서 조건을 기존보다 훨씬 낮춰서 제시한 경우 , 제안을 거부하고 퇴사하게 되면 그런 경우에는 자발적 퇴사라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대상에 해당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증거 자료만 잘 모아두시면 가능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조건 3가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특히 이직 사유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무조건 내가 자발적으로 그만 두었다고 해서 받는 것을 포기하지 마시고 , 조금 부당한 이유가 있더라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