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케톤체 - 암치료 및 케톤식이요법

by 오로라빠 2021. 2. 8.

케톤체라는 말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용어는 아니죠?
케톤체는 무엇인지 , 케토산증 , 그리고 케톤체를 통해서 암 치료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한번 알아볼께요.

 

1. 케톤체란?

 

: 쉽게 말해 지방질에서 생겨난 물질

케톤체(Ketone body)란 지방산 또는 아미노산의 대사 산물로 아세톤,아세토아세트산,베타히드록시부티르산을 총칭합니다.  지방 분해물질이 간에서 대사되면 케톤체라는 작은 입자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 이것을 세포가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우리는 하루 24시간 내내 ‘지방산과 케톤체’에너지 시스템을 이용해서 살고 있다고  봐야합니다. 

 

많은 의사들도 케톤체가 당뇨병을 악화시켜 위독하게 만드는 원인 물질에 지나지 않는다고 착각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 인체는 당질이 아니라 지방질에서 나온 물질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삼아 살아간다"

▶ 논란의 여지가 없는 과학적 사실

 

케톤체는 사람의 몸에 지극히 정상적인 물질이다

 

 

2. 암 치료의 열쇠 케톤체

 

암세포는 포도당만을 먹고 삽니다. 케톤체를 이용한 케톤식이요법의 효과는 미국에서 1995년 처음 발견되었는데 ,  본래 케톤식이요법은 1920년대부터 난치성 간질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 왔습니다. 1995년 난치성 간질을 앓고 있는 두 여자아이에게 케톤식이요법을 실시하였습니다.  두 아이는 간질뿐만 아니라 악성 뇌종양의 일종인 성상세포종(astrocytoma)도 앓고 있었는데, 케톤식이요법을 하면서 종양이 줄어드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케톤식이요법이 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우연히 발견된 겁니다. 인체는 본래 탄수화물이 아니라 지방을 주에너지원으로 쓰게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의사들은 케톤식이요법을 하면 "당뇨병성 케톤산증" 때문에 위독한 상태에 질 수 있다고 걱정합니다. 하지만 인슐린이 제대로 작용하는 사람이라면 케토산증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 케토산증
강산인 케톤체가 혈중에 축적되어 산증을 나타내는 상태. 당뇨병성 케토산증은 당뇨병성 혼수를 일으키거나 죽음에 이르게함



당뇨병과 암을 앓고 있는 환자가 당질제한식을 시작하자 암수치가 떨어진 일화도 있습니다. 미국의 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은 온몸으로 전이된 암을 케톤 식이요법으로 극복한 사례도 방영 .케톤체의 암 치료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들입니다.

 

 

 

3. 케톤식이요법 - 저탄수화물 다이어트

 

케톤식이요법, 즉 저탄수화물 고지방식을 하면 암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는 성공률이 높은 편인데 , 왜 높은지에 대한 이유를 알아보면

①  체내 지방을 분해시킨다
  - 탄수화물을 섭취하지 않으면 인체는 지방을 연소합니다. 지방을 케톤체로 바꿔서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체지방이 줄어듭니다


② 소화흡수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높아진다
-  음식을 소화 흡수할 때 에너지가 사용됩니다. 소화흡수 에너지 비율은 당질은 6%, 지방은 4%, 단백질은 30%입니다. 저탄수화물식사에는 단백질 비율이 높아 소화 흡수 때 에너지 소비가 늘어납니다.식단에 단백질 비율이 늘어나면 소화 흡수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면서 살빠지는 것이 가속됩니다 


③ 비만 호르몬인 인슐린 분비가 감소한다
 - 인슐린은 남는 열량(포도당)을 지방을 바꿔서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슐린이 많으면 당연히 살이 찌기 쉽워지겠죠. 탄수화물(당질)을 많이 먹을수록 인슐린 분비가 늘고 체지방이 늘어납니다


④  포도당신생합성 작용이 일어납니다. 
  - 탄수화물을 먹지 않으면 혈당이 부족해집니다. 이때 뇌나 근육은 케톤체를 연료로 씁니다. 적혈구는 포도당만을 연료로 사용하는데 인체는 적혈구를 위해서 포도당을 만들어냅니다. 간에서 아미노산이나 젖산을 원료로 포도당을 합성해서 혈당을 보충고 이때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에 살이 빠집니다
     < 출처 : 내 몸에 독이 되는 탄수화물 >

 

 

저의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저의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 없는 공감♥ 한번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