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척추관 협착증 원인 . 증상 . 운동법 - 비수술 치료로 90% 호전 가능

by 오로라빠 2021. 8. 6.

척추 질환 중에 가장 대표적인 질환 2가지가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입니다. 이 질환이 생기면 허리 통증과 하체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 나쁜 자세와 노화로 인해서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그중에서도 척추관 협착증이 생기는 원인과 증상, 여러 가지 치료방법, 예방할 수 있는 운동법까지 다양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척추관 협착증이란?   그리고 원인 4가지

 

우선 척추관은 척수가 지나는 척추 안의 공간으로 척수신경 및 신경 가지가 지나가는 통로를 말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이 척추관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보통 40~60대에 많이 발생합니다. 그러면 척추관 협착증이 발생하는 원인을 알아보죠.

 

 

원인 4가지

 

①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 나이를 먹으면 뼈 , 근육, 인대, 디스크 등  거의 모든 구조물들이 약해져 흔들리게 됩니다. 그러면 인대는 그 구조물이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 두꺼워지고 딱딱해지게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후관절 자체도 붓고 두꺼워져서 척추관을 좁히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신경을 압박하게 돼서 척추관 협착증이 생기게 됩니다.

 

척추 협착증
< 척추 협착증 >

 

② 선천적 원인

: 태어날 때부터  요추관의 크기가 정상보다 작게 태어난 경우 나이를 먹으면서 뼈와 인대의 변화가 겹쳐서 척추관 협착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③ 교통사고 등의 외부의 강한 충격

: 교통사고나 낙상 등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간혹 발생하기도 합니다.

 

 

④ 다른 척주질환에 의한 합병증

 

 

 

 

2. 척추관 협착증 증상 6가지

 

척추 모양
< 척추 모양 >

 

① 보행장애 (대표적인 증상)

: 걸어가다 보면 오래 걷지 못 하고 쉬었다 가야 하는 증상

 

② 허리를 펴거나 걸을 때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

 

③ 허리가 쑤시고 통증이 발생하는 증상

 

④ 엉덩이 뼈 , 허벅지, 종아리, 발 끝 등이 저리거나 당기는 증상

 

⑤ 다리가 가늘어지고 다리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증상

 

⑥ 밤에 종아리에 쥐 나는 증상

 

: 척추관 협착증이 정말 심하게 되면 걷지 못하는 증상이 온다고 하니 , 초기에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치료방법 및 운동법

 

우선 병원에 가시면 엑스레이 검사와 정밀 검사를 통해서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받게 됩니다.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뉘게 됩니다.

 

 

비수술적 치료

: 척추관 협착증은 관절 자체가 아닌 , 관절 주변부의 신경의 문제이기 때문에 90% 정도는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호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우선 약물 치료 및 운동 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

 

경막 외 감압술, 프롤로 치료등을 통하여 통증 및 염증 그리고 신경적 증상을 호전시키고 도수 치료와 운동 치료의 재활을 통해 척추 관절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척추관 협착증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되지 않거나 통증이 매우 심해 일상생활 자체가 되지 않을 때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수술을 통해 신경 길을 넓혀 주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보통 최소절개를 통해서 특수관을 통해 신경을 압박하는 병변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 척추 협착증에 좋은 운동법

 

 

① 양쪽 무릎 가슴에 닿기

: 허리 근육을 이완시켜 주고 좁아진 척추관 신경 공간을 넓혀주는 효과가 있는 운동입니다.

  • 양쪽 무릎 세우고 반듯하게 눕기
  • 양손으로 무릎을 감싼 다음 가슴이 닿도록 끌어당겨주기
  • 자세를 30초 유지하기

 

척추 협착증 운동법
< 척추 협착증 운동법 >

 

 

② 한쪽 무릎 가슴 닿기

: 엉덩이 근육을 늘려줌으로써 엉덩이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운동입니다.

 

  • 하늘을 보고 눕기
  • 한쪽 다리 구부리기 (양 손을 구부린 무릎 뒤편에 두고 가슴으로 당기기)
  • 자세 30초 유지하기

 

이번 시간에는 척추관 협착증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가장 중요한 점은 퇴행성이라는 점과 척추에 문제가 아니라 신경이 눌려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비수술 치료를 통해서 호전이 된다는 점 잊지 마시고 , 본인의 건강을 위해서 항상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칭하시길 바랍니다.

 

 

 

 

저의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