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저체온증 단계별 증상 6가지 - 응급처치 방법 6가지

by 오로라빠 2022. 7. 11.

우리 몸은 내부 온도 37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찬바람과 심한 추위로 인해 몸의 온도가 많이 떨어지게 되는데요. 이럴 때  지금 같은 겨울에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이 저체온증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저체온증에 걸리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과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체온증 이란?

 

◈ 저체온증 이란?

: 저체온증은 신체 내부 기관의 온도인 심부체온이 35℃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체온이 35℃ 미만으로 내려가면 심장, 폐, 뇌 등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장기의 기능이 저하되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습니다. 

 

 

◈ 저체온증의 단계

: 심부체온의 정도에 따라 저체온증은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분류합니다. 

 

 

 

 

저체온증 증상

 

◈ 심부체온 별 저체온증 증상

심부체온 별 저체온증 증상
경증(32~35도) 몸 떨림 현상
어눌한 말투
걸을 때 비틀거리고 잘 넘어짐
기억력 감퇴
손과 발에 동상 증상
배와 등에 서늘한 느낌
중등도(28~32도) 몸 떨림 현상이 줄어듬
온몸의 근육이 경직되어 팔, 다리가 뻣뻣해짐
피부가 차가워지며 푸른빛을 띔
심한 피로감과 의식장애, 부정맥 증상
동공 확장
중증(28도 미만) 맥박수와 호흡수 감소
동공 확장
반사 기능 소실
호흡 부전, 폐출혈, 저혈압 증상
혼수상태

 

저체온증 초기에는 온몸, 특히 팔 · 다리의 심한 떨림이 발생하고, 체온이 더 떨어지면 떠는 것을 멈추고 움직임이 느리고 둔해집니다. 기억력과 판단력이 떨어지고 말이 어눌해지며 증상이 지속되면 점점 의식이 흐려지고 결국 의식을 잃게 됩니다. 

 

저체온증 증상은 성인과 유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성인은 몸 떨림, 피로감, 착란, 어눌한 말투, 기억상실, 졸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유아는 피부가 빨갛고 차가워지며 축 처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 저체온증 위험군은?

 

① 노인 : 자율신경계 기능이나 혈관의 방어기전이 저하되어 추울 때 혈관을 수축하여 열 손실을 감소시키는 등의 보상 반응이 일반 성인보다 낮으며 특히 음식 섭취나 보온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저체온증에 취약합니다.

 

 

② 장시간 야외 활동하는 사람 : 노숙인, 등산객, 실외 작업자 등 추운 환경에서 장시간 야외에서 활동하는 사람은 저체온증을 조심해야 합니다. 

 

 

③ 과음 or 금지된 약물을 복용한 사람 : 과음을 하게 되면 체내에서 알코올이 분해되면서 일시적으로 체온이 올라가지만 피부를 통해 열이 발산되면서 체온이 다시 떨어집니다. 하지만 취기로 인해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항우울제나 금지된 약물을 복용한 사람도 저체온증 위험군에 속합니다. 

 

 

④ 영유아 : 영유아는 신체 표면의 면적이 크고 피하 지방이 적어서 체온 유지가 어렵고 몸을 떨어서 체온을 상승시키는 보상 반응이 일반 성인보다 약합니다. 

 

 

 

저체온증 응급처치 및 예방 방법

 

◈ 저체온증 응급 처치

 

① 체온이 35℃ 미만이거나 의식이 없을 시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의료기관으로 이송합니다.

 

② 가능한 한 빨리 환자를 따뜻한 장소로 이동시킵니다.

 

③ 젖은 옷을 벗기고 몸을 담요 등으로 감싸 줍니다.

 

④ 환자가 완전히 의식이 있으면 따뜻한 음료와 초콜릿 같은 단 음식을 섭취하게 합니다. 의식이 없는 환자는 질식의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를 마시게 하면 안 됩니다.

 

⑤ 119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계속 말을 걸어 의식이 깨어있게 합니다. 

 

⑥ 맥박이 없거나 숨을 쉬지 않으면 119 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심폐소생술을 합니다.

 

 

 

◈ 저체온증 예방 방법

 

① 생활습관 : 가벼운 실내 운동과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고 고른 영양소로 식사 하기

 

② 실내환경 : 18~20℃ 실내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하기

 

③ 외출 전 : 날씨가 추울 경우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외출 전 체감온도 확인 하기

 

④ 외출 시 : 보온을 위하여 옷을 여러 벌 겹쳐 입고, 모자와 목도리, 마스크, 장갑 착용 하기

 

 

이밖에도 옷이 젖었을 경우 젖은 옷은 바로 벗고 마른 옷으로 갈아 입어 저체온증을 예방하고 겨울철 산행 시 땀 흡수가 잘되는 셔츠와 방한 외투를 입고 갈아입을 여분의 옷과 따뜻한 음료, 열량이 높은 초콜릿 등의 간식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체온증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체온증에 대한 조기 증상을 사전에 알아두고, 겨울철 추위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비하여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아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의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