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러운 추위로 저체온증, 동상 등 한랭질환의 주의가 필요한 때입니다.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바람도 강하게 불면서 체감온도는 더 낮아질 텐데요. 이럴 때 주의해야 할 것 중의 하나가 동상입니다. 오늘은 동상의 주요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 목차
- 동상 이란?
- 동상 주요 증상
- 동상 치료 방법 및 주의 사항
동상 이란?
" 외출 시 장갑 · 목도리 · 모자를 착용하고 보온에 신경 쓰세요."
◈ 동상이란?
: 심한 추위에 노출되어 피부 및 피하조직이 얼어서 손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코, 귀, 뺨, 턱, 손가락, 발가락 부위에 자주 발생합니다.

동상 주요 증상
동상의 주요 증상으로는 ① 피부색이 붉어지고 ② 통증이나 저림현상이 있으며 ③ 감각이 무뎌지고 동상 정도에 따라 ④ 부종이나 수포가 생깁니다.
◈ 동상 주요 증상
동상의 초기인 1도 동상인 경우 피부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며 피부색이 붉어지고 가렵기 시작합니다. 2도 동상의 경우 점점 피부색이 검붉어지고 맑은 색의 물집이 생깁니다.
3도 동상으로 진행되면 피부와 진피조직이 괴사 되기 시작하여 동상 부위의 감각이 잘 느껴지지 않고 출혈성 물집이 생깁니다.
동상의 최고단계인 4도 동상으로 진행되면 피하조직이 괴사 하기 시작하고 심한 경우 근육과 뼈까지 괴사 되며 동상 부위에 두꺼운 검은 딱지가 생깁니다.
겨울철 추위에 적절하지 않은 차림새이거나 평소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 동상에 걸리기 쉽습니다. 겨울철 두꺼운 양말과 신발을 신어도 발가락 끝이 어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요.
그것은 신발이 꽉 끼어 발의 혈액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한 시간 이상 꽉 끼는 신발을 신고 다닌 경우 동상의 위험이 커지므로 신발이 너무 꽉 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동상 치료 방법 및 주의사항
동상에 걸렸을 때는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즉각적인 치료를 받을 수 없을 때도 있죠. 병원 방문 전 시행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동상 치료 방법
① 신속히 환자를 따뜻한 장소로 옮겨준다.
② 동상 부위를 37~39℃ 정도의 따뜻한 물에 20~40분간 담근다.
③ 동상부위의 부종과 통증을 줄여주기 위해 동상 부위를 약간 높게 한다.
얼굴이나 귀에 동상이 걸린 경우 따뜻한 물수건을 대주는 것이 좋고 손이나 발에 동상이 걸린 경우에는 손, 발가락 사이에 소독된 마른 거즈를 끼워 습기를 제거하고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동상 걸렸을 때 금지사항
- 다리나 발이 동상의 징후를 보일 때는 걷지 말아야 합니다. 동상 걸린 다리 · 발로 걸을 시 조직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언 피부가 녹은 후라도 조직 손상이 진행 중일 수 있으므로 치료를 다 마칠 때까지 가급적 걷는 것을 피해 주어야 합니다.
- 동상 부위를 마사지 하거나 너무 뜨거운 물, 난방 패드, 램프 등의 열을 사용하여 따뜻하게 하지 말아야 합니다. 동상에 걸린 부위는 감각이 둔해져 있어 화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 동상 부위가 가렵다고 해서 피부를 긁거나 물집을 터트리면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러한 행동은 삼가야 합니다.
-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나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필 경우 손가락과 발가락의 혈액 흐름에 방해를 줄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합니다.
오늘은 동상의 주요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동상이 걸리기 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지요. 추운 겨울철 두꺼운 양말이나 깔창은 발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동상의 위험을 높이므로 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땀 흡수가 잘 되는 적당한 두께의 양말을 착용하고 편한 신발을 신는 것이 좋고 추운 곳에서는 가급적 수시로 몸을 움직여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하여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저체온증 단계별 증상 6가지 - 응급처치 방법 6가지
우리 몸은 내부 온도 37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찬바람과 심한 추위로 인해 몸의 온도가 많이 떨어지게 되는데요. 이럴 때 지금 같은 겨울에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이
gamma2011.tistory.com
저의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댓글